본문 바로가기
시황 정리

[4월 8일 장전 시황]오늘의 시장 분위기

by 주린이구출작전 2025. 4. 8.
반응형

 

알반장 시황
알반장 시황

관세 우려 속 반도체·IT 급락, 수출 테마는 견조

최근 글로벌 증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초강경 관세 정책 여파로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특히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연초 대비 -35% 하락하며 기술주의 타격이 심화되고 있어요.

오늘 장전 시황에서는 반도체·2차전지 등 수출 중심 업종의 하락세와 함께, 공매도 과열 종목, 외국인·기관의 매매 추이, 그리고 수출 통계에 기반한 관심 업종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시장 주요 포인트

1. 반도체·IT 주 중심 낙폭 심화

  •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등 대형 반도체주가 연중 고점 대비 -27~52% 하락
  • 테크윙, ISC, 이수페타시스, HPSP 등 반도체 장비·부품주도 -30~40% 이상 조정
  • 투자심리가 급속히 위축되며 기관·외국인의 매도세가 지속

2. 공매도 강세 섹터 등장

  • 코스닥 시장에서는 2차전지, 바이오, IT 부품 관련주에 공매도 집중
  •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엔터, 게임, 플랫폼, 호텔·관광, 지주회사 중심으로 공매도 증가
  • 공매도 과열 종목 리스트에 주목해 방어적 포지션 점검 필요

3. 바이오 일부 반등, 펩트론·에이비엘바이오 주목

  • 펩트론: 4월 들어 +16.7% 상승
  • 에이비엘바이오: +28.5% 급등, 단기 기술적 반등 구간 가능성 존재

 

투자자 심리 지표

  • VIX 공포지수: 코로나 시기 수준으로 급등
  • 미국 하이일드 스프레드: 4.61까지 상승, 불확실성 확대 시그널
  • 거래대금 감소: 투자자들이 ‘관망세’로 전환 중

 

섹터별 주목 포인트

✅ 단기 관심 섹터 (시장 대비 상대 강세 기대)

  1. LNG/조선/방산/변압기
    • 미국과 인프라 연계성이 높은 업종
    • 대표 종목: HD현대중공업, 한국카본, 태광, SNT에너지
  2. IP(지적재산권) 중심 기업
    • 관세 영향 적은 분야
    • 대표 종목: JYP Ent., 스튜디오드래곤, 크래프톤
  3. 화장품·고성장 소비재
    • 수요 탄력적으로 가격 전가 가능한 산업
    • 대표 종목: 한국콜마, 코스맥스, 삼양식품

 

수급 요약 (사모/연기금/외국인 기준)

  •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꿈비, 코나아이, 유아이디
  • 외국인 순매수 강도 상위: 아이엠, 스타코링크, 파미셀
  • 순매도 강도 상위: 대신정보통신, 써니전자, 진양산업

 

오늘의 전략 포인트

보수적 접근 유지

  • 시장 전반이 불확실성에 휩싸인 만큼, 신용 비중 축소 및 현금 비중 확보가 중요

기술적 반등 포인트 모니터링

  • 일부 종목은 과도한 낙폭으로 기술적 반등 구간 진입 가능성 (특히 바이오, 콘텐츠)

수출 업종 중심의 중기 시나리오 점검

  • 조선, 화장품, 라면 등 YoY 수출 성장세 확인 → 실적 개선주 선별적 접근 유효

 

한줄 요약

글로벌 관세 충격으로 반도체와 수출주가 조정을 받고 있는 가운데, 방어적 접근과 수출 모멘텀 종목 선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