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4월 18일 국내 증시 마감 시황:
2025년 4월 18일 금요일, 국내 증시는 미국증시 혼조세와 원화 약세 속에서도 기관 매수세가 유입되며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기계·장비와 일반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이 모두 상승폭을 키운 하루였습니다.
주요 지수 동향
- 코스피 지수: 2,483.42pt (+13.01, +0.53%)
- 코스닥 지수: 717.77pt (+6.02, +0.85%)
- KRX300 지수: 1,517.48pt (+10.15, +0.67%)
두 지수 모두 이틀 연속 상승하며 시장 안정감 회복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업종별 특징
- 코스피 주요 상승 업종
- 기계·장비: +3.2%
- 섬유·의류: +2.1%
- 비금속광물: +1.9%
- 운송·창고: +1.8%
- 코스닥 주요 상승 업종
- 일반서비스: +3.2%
- 운송·창고: +2.9%
- 오락·문화: +1.7%
대체로 중소형주가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코스닥에서 일반서비스 관련 종목들이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수급 동향
- 코스피 현물 시장
- 외국인: -1,042억
- 기관: +816억 (연기금 중심 매수)
- 개인: -319억
- 코스닥 현물 시장
- 외국인: -213억
- 기관: +122억
- 개인: +322억
기관의 매수 전환이 오늘 시장을 이끈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연기금과 투신권이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섰습니다.
공매도 동향 요약
- 총 공매도 거래대금: 4,025억 원 (전체 대비 2.23%, 전일 대비 1,655억 감소)
- 공매도 과열종목: 13종목 (모두 코스닥)
- 공매도 상위 KOSPI 종목
- KB금융, 두산에너빌리티, SK하이닉스
- 공매도 상위 KOSDAQ 종목
- 알테오젠, 삼천당제약, HLB
공매도 비중이 높은 종목으로는 아시아나항공(66.07%), 현대오토에버(46.19%), LG생활건강(42.22%) 등이 있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주가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환율·원자재·국채 금리
- 원/달러 환율: 1,422.8원 (2일 연속 약세, +6.2원 상승)
- 국제유가(WTI): 64.01달러 (2일 연속 상승, +3.53%)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4.326%, 전일 대비 +4.8bp 상승
환율 상승과 유가 상승은 일부 수출업종에는 호재가 될 수 있으나,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우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해외 증시 상황
- 다우존스: 39,142pt (-1.3%)
- 나스닥: 16,286pt (-0.1%)
- DAX(독일): 21,206pt (-0.5%)
- 니케이(일본): 34,730pt (+1.0%)
- 상해종합·홍콩 등 아시아 증시는 Good Friday 휴장
한 줄 요약
기관 중심의 매수세에 힘입어 국내 증시는 기계·장비, 일반서비스 업종의 강세와 함께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반응형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21일 마감 시황] 관세 협상 기대감-코스피 & 외국인 매도세-코스닥 (2) | 2025.04.21 |
---|---|
[4월 21일 장전 시황] 오늘의 증시 분위기 (3) | 2025.04.21 |
[4월 18일 장전 시황] 오늘의 증시 분위기 (4) | 2025.04.18 |
[4월 17일 마감 시황]코스피·코스닥 동반 상승, IT·2차전지 강세 (2) | 2025.04.17 |
[4월 17일 장전 시황] 오늘의 증시 분위기 (3)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