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황 정리

[5월 9일 마감 시황] 코스피·코스닥 4일 만에 동반 하락, 수급 불균형에 투자심리 위축

by 주린이구출작전 2025. 5. 9.
반응형

마감시황
마감시황

 

이번 주 마지막 거래일인 5월 9일 금요일, 국내 증시는 미국과 영국의 무역협상 타결 소식에도 불구하고 장중 하락 전환하며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외국인과 개인의 매수에도 기관의 대규모 매도가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했으며, 특히 코스닥은 외국인·기관 동반 이탈로 1%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코스피 지수: 외국인 매수에도 기관 매도에 약보합

  • 종가: 2,577.27p
  • 변동: -2.21p (-0.09%)
  • 거래대금: 7.7조 원 (전일 대비 -2.5조 원 감소)

초반엔 미국-영국 무역협상 타결 소식으로 강세 출발했지만, 달러 강세와 글로벌 무역협상에 대한 회의적 전망이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수급 동향:

  • 외국인: +680억 원 순매수
  • 개인: +632억 원 순매수
  • 기관: -1,871억 원 순매도
  • 프로그램 매매: 차익 -125억 원 / 비차익 -209억 원

업종별 특징:

  • 하락세 업종: 의료·정밀기기(-5.0%), 건설(-2.0%), 일반서비스(-1.9%), 화학(-1.2%)

 

코스닥 지수: 외국인·기관 동반 매도에 급락

  • 종가: 722.52p
  • 변동: -7.07p (-0.97%)
  • 거래대금: 7.4조 원 (전일 대비 +1.1조 원 증가)

전일 나스닥 상승 영향으로 상승 출발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지속적인 매도세가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수급 동향:

  • 외국인: -2,659억 원 순매도
  • 기관: -819억 원 순매도
  • 개인: +3,769억 원 순매수

하락 주도 업종: 통신(-2.1%), 전기·전자(-1.9%), 화학(-1.7%)

 

공매도 현황: 거래 위축, 에코프로비엠·LG에너지솔루션 집중 공매도

5월 9일 공매도 거래대금은 전일 대비 3,069억 원 감소한 6,585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체 거래대금의 **3.36%**에 해당하며, 특히 KOSPI 공매도 비중이 줄어든 것이 눈에 띕니다250509공매도데일리브리프.

  • KOSPI 공매도: 4,751억 원 (비중 4.44%)
  • KOSDAQ 공매도: 1,833억 원 (비중 2.07%)

공매도 거래 상위 종목:

  • KOSPI: 삼성전자(305억, +0.37%),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2.9%)
  • KOSDAQ: 에코프로비엠(-5.78%), 알테오젠, 실리콘투, 카페24(-24.47%)

공매도 과열종목: 코스닥 종목 5개 지정 (모헨즈, 서울옥션 등)

 

환율·국제시장 동향

  • 원/달러 환율: 1,400.8원 (전일 대비 -6.1원, 하루 만에 원화 강세 전환)
  • WTI유가: 60.28달러 (2일 연속 상승)
  • 미국 10년 국채 금리: 4.377% (전일 대비 +10.7bp 상승)

글로벌 증시:
미국 다우(+0.6%)와 나스닥(+1.1%) 상승, 대만 TWI(+1.8%) 강세. 반면 일본(-0.3%)은 약세.

 

한줄 요약

기관 매도세와 외국인 이탈이 겹치며 코스피·코스닥 모두 하락 마감, 공매도는 감소했지만 특정 종목 집중 공략이 이어졌습니다.

반응형